일시 : 2023 년 6 월 28 일 11:30(am)
장소 : Humanity & Green Natural (Cambodia) Co.,Ltd
참석자 명단
이용만, 백선우, 최조환, 안기오, 정재원, 고석규, 설욱환, 전범배, 임우택, 김경완, 최주희, 조재용, 황지영, 강민구,뉴스 브리핑, 박정연(16 명)
#강 민구농업 이사
– Humanity & Green Natural (Cambodia) Co.,Ltd 대표
-코참 청년기업가 위원회 활동 중
-캄농에서 영농 이사로 활동 중
-끄라체에서 농사/ 몬돌끼리에서 중장비 작업/ 헌병대 군복 납품 및 무역, 트레이딩, 한국/태국 제품 유통 소싱
# 대사관 (백 선우 서기관)
– 7 월 6 일 농업 분야별 간담회
#코트라 (최 조환 관장)
– 코로나로 주춤했던 기업체들 출장이 2 주전부터 늘어나는 추세(캄보디아에서 팔고자 하는 품목은 화장품, 소비재/ 품질은 좋으나 소득 수준에 비해 가격이 많이 비쌈)
-수출은 섬유, 봉제분야가 좋지 않기 때문에 아직 회복하지 못하고 있음
#항공 (정 재원 부회장)
– 시엠립 정규노선 운행 예정
– 10 월 16 일 신공항 오픈 아직 쉽지 않은 상황
– 프로모션 7 월 10 일~8 월 10 일 온라인 홈페이지를 통해 시행
-7 월 1 일부터 신 기재
# 세무/회계(안 기오 부회장 )
– 수영복,유니폼업계 봉제공장들 호전 되는 상황,일본으로 수출
– 작년 세금 3billion dollar 목표,금년 3.6billion dollar 목표/실질적으론 7.2billion dollar(under table money 포함) 걷힐 것으로 생각
-최근 한국회사들만 집중 단속 하려함
1.한국 기업들 자체의 문제
2.한국기업들이 문제점을 파악하지 못함
3.한국 기업들은 각자 도생을 택하여 목소리를 내지 못하고 있음
4.한국 기업들도 체계적으로 문제를 파악하여 협력해야 함
-7 월 15 일까지 재무부와 국세청, 관세청이 독립을 하려함 /7 월 15 일까지 감사보고서를 ACAR 에 제출해야 함(불 이행 시 벌금 $7500)
*external audit 을 받아야 함
*comprehensive audit 3 년마다 →최근 해마다
*limited audit -나중에 포괄 검사 받아야 함
#자동차( 고 석규 부회장)
– 차량 인도식 /캄보디아 육군 현대화 사업 /230 대 납품 완료
-본사에서 정비 팀 방문하여 정비 사업도 연계하여 진행
– 7 월달에 자동차 관세 변경/하이브리드(115%→110%로), 플러그인 모델 관세인하
– EV 차량 63%세율(보조금대신 세율을 낮춤)
-중국 자동차 업체 투자를 적극 권장 중, 자동차 사업을 신 동력으로 하려함,중국 자동차 생산업체가 더 많아질 것으로 예상
#경호/안전(전 범배 부회장)
-사건 사고 소식
-최근 서세원씨 , 변아영씨에 대한 사고에 대한 내용 공유
-2019 년도 장 모양 사건 : 아파트서 머물던 중국인 인당 5 만불씩 주고 교도소서 풀려나 중국으로 귀환
#IT (설 욱환 부회장)
-캄보디아 신용카드보다 계좌이체를 더 많이 사용
-위빌 365 사이트 개설하여 결제망을 구축 하려함/ 바콩과 차별점은 별다른 액션없이 입금만해도 인보이스가 발행
#금융(이 용만 회장)
-은행들 신규대출 중단하고 유동성을 확보하는 중/신규 대출이 중단되다 보니 유동성이 호전 되어 가는 중
-부실 대출률이 상승/ 한국계 금융기관들은 팔로업 중임
-선거철이 되면 현지인들 cash 를 많이 비축해 둠/ 올해는 아직까지는 인출하지 않고 있음
-예보에서 토마토 저축은행 매각이 되지 않은 자료 매각 시 한국은행들이 우선시 되었으면 좋다는 생각임/ 회수 시 국고로 들어 감 /토마토 저축은행 본점 건물포함 좋은 매물들 있음
#건설(임 우택부회장)
-건설분야 재개되고 있음
-2000 개 객실을 보유한 호텔 중국업체에서 짓고 있음/한국 시행업체 찾고 있는 중
-시하눅크빌 방치되어 있던 건물들 공사 재개 시작
-조만간 경기 회복될 것이라 생각됨
# 섬유/봉제(송 제호 부회장)
-섬유 봉제분야 아직 불황
-캄보디아 관세청 정보: *의료, 신발, 여행용품 31 억$, 작년 41 억$ 대비 24%정도 감소/ 동기간 캄보디아 섬유,봉제 감소폭 매우 큼/체감상 50%감소
-세수 2%정도 증가,많은 업체들이 세무조사로 인해 고통 받는 중
-공장 별 폐업,생산라인 감소 등 어려운 상황
-미국/유럽시장의 소비심리가 회복 되어야 함
#농업 (조 재용 부회장)
-망고 오픈시즌
-쌀 수출,비료 등 우기시기가 맞지 않어 수입 ,수출 시기가 늦어지고 있음/기후 변화로 비 오는 시기 및 방법이 조금씩 달라져서 피해가 큼(밤에 오는 비 직물에 냉해 피해)
-fresh 만고 말고 한국 포함 선진국 수출이 어렵고 헐 값에 팔려 나감
– 캄보디아 망고가 베트남, 태국에서 가공되어 중국 등으로 수출/ 캄보디아는 전기료가 너무 비싸서 경쟁력 없음/ 전기료에서 가장 많은 비용이 발생하여 추가 장비 도입 어려움
-프랑스 La Plentation 처럼 고급화를 하여 판매해야 할 것 이라고 생각
-6 월달에 태국 1040 만불 들여 가공 공장 설치
-현지 로컬업체들 스마트 영농으로 표고버섯 만들어 냄
-캄폿에서 소금 만듬 ( 50kg 한 팩에 6.5~7.5$)
-쌀 7 월 4 천만불수출(향미가 가장 많이 수출)/ 필리핀으로 많이 수출
-쌀 관련 가공 공장들이 바탐방에 많이 시도 중(중앙 정부)
#청년 기업가위원회(최 주희 회장)
– 8 월 CKCC 에서 JOB FAIR 할예정
– 한국 교육부에서 운영하는 링크사업단과 협력 하기로 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