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1~10월> 대미 수출입 30.8% 증가, 대일 12.2% 증가
작성자
kampucheanews
작성일
2022-03-19 16:23
조회
704
【캄푸치아신문 : 2021년 12월 15일】올해 10개월간 대미·대일 수출입이 각각 30.8%, 12.2%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.
이 기간 대미 수출입액은 75억7100만달러. 이중 대미 수출은 30.9% 증가한 72억2400만달러, 수입은 28.37% 증가한 3억4660만달러다.
지난해 대미 수출입은 전년보다 17.89% 증가한 69억213만달러를 기록했다. 대미 수출과 수입은 22.79% 증가한 65억7700만달러, 33.15% 감소한 3억4360만달러다.
◆대일 수출입 12.2% 증가=같은 기간 대일본 수출입은 12.2% 증가한 19억6424만달러를 기록했다. 대일 수출은 9.34% 증가한 14억8719만달러, 수입은 22.24% 증가한 4억7705만달러다.
캄보디아는 의류와 전기제품, 전자제품을 주로 수출했고, 기계와 전자·하이테크 제품을 주로 수입했다.
지난해 양국의 수출입은 전년보다 8.35% 감소한 21
【캄푸치아신문 : 2021년 12월 15일】올해 10개월간 대미·대일 수출입이 각각 30.8%, 12.2%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.
이 기간 대미 수출입액은 75억7100만달러. 이중 대미 수출은 30.9% 증가한 72억2400만달러, 수입은 28.37% 증가한 3억4660만달러다.
지난해 대미 수출입은 전년보다 17.89% 증가한 69억213만달러를 기록했다. 대미 수출과 수입은 22.79% 증가한 65억7700만달러, 33.15% 감소한 3억4360만달러다.
◆대일 수출입 12.2% 증가=같은 기간 대일본 수출입은 12.2% 증가한 19억6424만달러를 기록했다. 대일 수출은 9.34% 증가한 14억8719만달러, 수입은 22.24% 증가한 4억7705만달러다.
캄보디아는 의류와 전기제품, 전자제품을 주로 수출했고, 기계와 전자·하이테크 제품을 주로 수입했다.
지난해 양국의 수출입은 전년보다 8.35% 감소한 21억1780만달러를 기록했다. 대일본 수출과 수입은 각각 6.6% 감소한 16억1700만달러와 13.8% 감소한 4억8470만달러를 기록, 캄보디아는 11억324만달러의 무역 흑자를 봤다.
◆봉제제품 원부자재 수입 25% 증가=올해 9개월간 봉제제품 생산용 원부자재 수입이 25%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. 원부자재 수입이 증가했다는 것은 봉제제품 수출이 증가했음을 의미한다.
세계은행에 따르면 이 기간 캄보디아는 약 35억달러어치의 봉제제품 원부자재를 수입했다.
봉제협회(GMAC)에 따르면 봉제제품 수출은 품목별로 차이를 보였다.
의류의 경우 지난해 동기보다 약 5% 증가에 그친 반면, 신발은 약 15%, 여행상품은 30% 이상 증가했다.
[ⓒ 캄푸치아신문,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]
※ 카톡으로 캄푸치아신문의 속보와 일일뉴스, 과월호를 받아보길 원하시는 분은 카톡 ID camnews를 찾아 구독을 신청하시기 바랍니다.
억1780만달러를 기록했다. 대일본 수출과 수입은 각각 6.6% 감소한 16억1700만달러와 13.8% 감소한 4억8470만달러를 기록, 캄보디아는 11억324만달러의 무역 흑자를 봤다.
◆봉제제품 원부자재 수입 25% 증가=올해 9개월간 봉제제품 생산용 원부자재 수입이 25%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. 원부자재 수입이 증가했다는 것은 봉제제품 수출이 증가했음을 의미한다.
세계은행에 따르면 이 기간 캄보디아는 약 35억달러어치의 봉제제품 원부자재를 수입했다.
봉제협회(GMAC)에 따르면 봉제제품 수출은 품목별로 차이를 보였다.
의류의 경우 지난해 동기보다 약 5% 증가에 그친 반면, 신발은 약 15%, 여행상품은 30% 이상 증가했다.
이 기간 대미 수출입액은 75억7100만달러. 이중 대미 수출은 30.9% 증가한 72억2400만달러, 수입은 28.37% 증가한 3억4660만달러다.
지난해 대미 수출입은 전년보다 17.89% 증가한 69억213만달러를 기록했다. 대미 수출과 수입은 22.79% 증가한 65억7700만달러, 33.15% 감소한 3억4360만달러다.
◆대일 수출입 12.2% 증가=같은 기간 대일본 수출입은 12.2% 증가한 19억6424만달러를 기록했다. 대일 수출은 9.34% 증가한 14억8719만달러, 수입은 22.24% 증가한 4억7705만달러다.
캄보디아는 의류와 전기제품, 전자제품을 주로 수출했고, 기계와 전자·하이테크 제품을 주로 수입했다.
지난해 양국의 수출입은 전년보다 8.35% 감소한 21
【캄푸치아신문 : 2021년 12월 15일】올해 10개월간 대미·대일 수출입이 각각 30.8%, 12.2%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.
이 기간 대미 수출입액은 75억7100만달러. 이중 대미 수출은 30.9% 증가한 72억2400만달러, 수입은 28.37% 증가한 3억4660만달러다.
지난해 대미 수출입은 전년보다 17.89% 증가한 69억213만달러를 기록했다. 대미 수출과 수입은 22.79% 증가한 65억7700만달러, 33.15% 감소한 3억4360만달러다.
◆대일 수출입 12.2% 증가=같은 기간 대일본 수출입은 12.2% 증가한 19억6424만달러를 기록했다. 대일 수출은 9.34% 증가한 14억8719만달러, 수입은 22.24% 증가한 4억7705만달러다.
캄보디아는 의류와 전기제품, 전자제품을 주로 수출했고, 기계와 전자·하이테크 제품을 주로 수입했다.
지난해 양국의 수출입은 전년보다 8.35% 감소한 21억1780만달러를 기록했다. 대일본 수출과 수입은 각각 6.6% 감소한 16억1700만달러와 13.8% 감소한 4억8470만달러를 기록, 캄보디아는 11억324만달러의 무역 흑자를 봤다.
◆봉제제품 원부자재 수입 25% 증가=올해 9개월간 봉제제품 생산용 원부자재 수입이 25%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. 원부자재 수입이 증가했다는 것은 봉제제품 수출이 증가했음을 의미한다.
세계은행에 따르면 이 기간 캄보디아는 약 35억달러어치의 봉제제품 원부자재를 수입했다.
봉제협회(GMAC)에 따르면 봉제제품 수출은 품목별로 차이를 보였다.
의류의 경우 지난해 동기보다 약 5% 증가에 그친 반면, 신발은 약 15%, 여행상품은 30% 이상 증가했다.
[ⓒ 캄푸치아신문,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]
※ 카톡으로 캄푸치아신문의 속보와 일일뉴스, 과월호를 받아보길 원하시는 분은 카톡 ID camnews를 찾아 구독을 신청하시기 바랍니다.
억1780만달러를 기록했다. 대일본 수출과 수입은 각각 6.6% 감소한 16억1700만달러와 13.8% 감소한 4억8470만달러를 기록, 캄보디아는 11억324만달러의 무역 흑자를 봤다.
◆봉제제품 원부자재 수입 25% 증가=올해 9개월간 봉제제품 생산용 원부자재 수입이 25%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. 원부자재 수입이 증가했다는 것은 봉제제품 수출이 증가했음을 의미한다.
세계은행에 따르면 이 기간 캄보디아는 약 35억달러어치의 봉제제품 원부자재를 수입했다.
봉제협회(GMAC)에 따르면 봉제제품 수출은 품목별로 차이를 보였다.
의류의 경우 지난해 동기보다 약 5% 증가에 그친 반면, 신발은 약 15%, 여행상품은 30% 이상 증가했다.
[ⓒ 캄푸치아신문,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]
※ 카톡으로 캄푸치아신문의 속보와 일일뉴스, 과월호를 받아보길 원하시는 분은 카톡 ID camnews를 찾아 구독을 신청하시기 바랍니다.